• 필수의료 전문의 인력,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4배'
  • 보사연 "보상 체계 개선 필요"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수행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 연구'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수도권이 평균 1.86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비수도권은 0.46명에 그쳐 약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필수과목 전문의였다. 낮은 경제적 보상, 높은 업무 강도와 사고 위험 탓에 필수과목 기피가 심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도별로는 서울이 인구 1000명당 필수의가 3.02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2.42명), 부산(0.81명), 대구(0.59명), 인천(0.55명), 경남(0.53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0.06명), 제주(0.12명), 울산(0.18명) 등은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연구원은 "지역에서 의사 임금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주 여건 문제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지속된다"며 "보상 체계 개선 없이는 의료인력 불균형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의대 정원 문제에 대해서는 현 수준(3058명) 유지 시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의료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2035년까지 의사 1만 명가량이 부족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들의 전망이 공통적"이라며 "적정 정원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원 규모와 확대 방식은 의료계와의 협의를 거쳐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임상 의사 수는 2.6명(한의사 포함)으로 OECD 평균(3.7명)에 크게 못 미친다. 한의사를 제외하면 약 2.1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다.

  • 글쓴날 : [25-08-26 09:44]
    • 박원빈 기자[wbpark@nanryna.kr]
    • 다른기사보기 박원빈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