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5년 상반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한 137.9억 달러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 55.1억 달러(+14.9%), 의약품 53.8억 달러(+20.5%), 의료기기 29.1억 달러(△0.6%)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 기초화장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의약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반면, 임플란트 등 치과용품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바이오의약품’과 ‘백신류’ 수출 증가로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한 53.8억 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63.4%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한 34.1억 달러[반기 최대실적]의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9.8억 달러, +41.4%), 헝가리(5.2억 달러, +26.8%), 독일(4.7억 달러, +66.7%), 스위스(4.6억 달러, +76.9%), 네덜란드(2.5억 달러, +719.8%)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백신류’(1.7억 달러, +53.3%) 수출은 수단(0.2억 달러, 397.3%), 남수단(’24.上 0달러 → ’25.上 0.1억 달러), 콩고(’24.上 0달러 → ’25.上 0.1억 달러)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초음파 영상진단기’ 및 ‘전기식 의료기기’ 수출은 증가했으나, ‘임플란트’의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한 29.1억 달러를 기록했다.
‘초음파 영상진단기(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약 15.1% 차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증가한 4.4억 달러[반기 최대실적]의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1.0억 달러, +9.8%), 중국(0.4억 달러, +22.9%), 인도(0.3억 달러, +29.2%)에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아랍에미리트(0.3억 달러, +814.1%)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기식 의료기기’(3.0억 달러, +11.8%) 수출은 미국(0.4억 달러, +37.0%), 태국(0.2억 달러, +79.9%)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임플란트’(3.8억 달러, △21.7%) 수출은 중국(1.3억 달러, △30.1%), 미국(0.2억 달러, △41.6%), 네덜란드(0.1억 달러, △69.9%)에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기초화장용 · 색조화장용 · 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한 55.1억 달러를 기록했다.
‘기초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6%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1.1억 달러[반기 최대실적]를 기록했다.
미국(7.4억 달러, +16.4%), 홍콩(3.2억 달러, +38.0%), 폴란드(1.1억 달러, +133.0%)를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고, 중국(8.3억 달러, △8.7%)과 베트남(1.7억 달러, △20.2%)에서는 감소했다.
‘색조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13.7%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한 7.5억 달러[반기 최대실적]의 실적을 보였다.
일본(1.9억 달러, +38.3%), 미국(1.4억 달러, +12.4%), 프랑스(0.3억 달러, +107.1%)를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중국(1.2억 달러, △30.4%)에서 크게 감소했다.
‘인체세정용 제품류’(2.7억 달러, +22.2%) 수출은 중국(0.7억 달러, +10.3%), 미국(0.5억 달러, +40.9%), 폴란드(0.1억 달러, +70.3%)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을 견인했다”며,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품 등 주력 품목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만큼,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대응에 나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