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의약품·의료기기 공급자가 요양기관에 제공한 경제적 이익 내역을 담은 2023년도 지출보고서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이다.
보건의료인 대상으로 확인 및 정정 절차도 진행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지난 2023년 지출보고서 자료를 정밀 검토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출보고서 실태조사 결과는 지난 2월 이미 공개됐으며, 현재 내부적으로 자료 분석을 계획하고 있다"며 "보건의료인의 정정 및 확인 절차를 거쳐 안정적인 데이터가 확정되면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2월 의약품·의료기기 공급자들이 요양기관에 제공한 경제적 이익 내역을 담은 2023년도 지출보고서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으며 여기에는 의약품 1만3641개, 의료기기 분야 8148개 등 총 2만1789개 업체가 참여했다.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실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기업은 전체의 18.2%에 해당하는 3964개소로 집계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8182억원, 제품 기준으로는 2119만 개의 경제적 이익이 제공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약품의 경우 대금결제 비용 할인(68.1%), 의료기기의 경우 견본품 제공(62.2%)이 가장 흔한 형태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건의료 단체에 협조 공문 등을 발송해 지출보고서의 사실관계가 맞는지 확인 및 정정 기간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예를 들어 해당 의료인이 제품설명회 자리에 없었거나 금액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정 제약사에 이슈가 발생해 확인이 필요하면 보건의료인에게 확인을 요청하지 않을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보건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는 기간을 가지려고 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구체적인 기간을 정하지 않았다. 아직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복지부 모니터링 기간은 한 달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자료가 정정되면 안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곧 모니터링 기간을 계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즉 보건의료인들은 상시 확인 및 정정이 가능하지만, 제도 초기이기 때문에 잘 정착되도록 다시 한 번 상기시킬 겸 모니터링 기간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현재는 업체를 통해 2024년 회계연도 지출보고서가 작성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연말쯤 공표될 예정이다.
또한 지출보고서 시스템은 올해 연말쯤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확인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는 임시 서버를 사용하는 가오픈 상태로, 12월 오픈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좀 더 안정화되고 고도화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안내했다.